18일 전자신문이 창업기획자 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공시된 1220개 벤처·개인투자조합 중 만기가 지났거나 올해 만기를 앞둔 개인투자조합 수가 81개로 집계됐다. 창업기획자는 2020년 9월까지는 당시 제도로 인해 자본금 또는 결성한 개인투자조합의 최소 40%를 창업초기 기업에 투자했다. 이후 벤처투자조합 설립이 허용됐다.
80여개 조합이 주로 결성된 2017~18년도 개인투자조합 평균 결성액이 약 6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산술적으로 최소 480억원의 투자금 회수가 필요한 셈이다. 피투자기업이 성장하며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만큼 회수 규모는 훨씬 커질 수밖에 없다.
청산 시점까지 회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출자자(LP)간 합의를 거쳐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 하지만 지분 회수로 출자자에게 수익을 돌려주는 것이 조합 목적이란 점에서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국내 주요 AC인 퓨처플레이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모두 2016년에 처음 결성한 개인투자조합이 지난해 말소예정이었지만 한 차례 청산 시점을 연장했다. 두 회사는 현재 청산 시점과 회수 방안에 대해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벤처투자 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포트폴리오사의 기업공개(IPO) 또는 벤처캐피털(VC) 업계의 구주 모두 쉽지 않은 상황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기부도 이를 감안해 최근 모집 중인 2024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에 지역AC 세컨더리 유형을 신설했다.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지역 소재 창업기획자 등이 1년 이상 보유한 국내·중소벤처기업 주식에 인수에 활용해야 한다. 다만 업계는 자펀드 결성 목표액이 167억원에 그쳐 AC 출자 규모에 비해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무엇보다 개인투자조합 결성 추이를 보고 만기 도래 규모를 짐작할 뿐 세컨더리펀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통계도 미비한 상황이다.
차기 한국엑셀러레이터협회장에 내정된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도 AC 회수 시장 활성화 의지를 피력했다.
전화성 차기 회장은 “AC 업계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려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주 매각이 활성화돼야 한다”면서 “구주 매입 홍보와 VC 업계 소통 등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