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동아] 라스베이거스 초대형 돔 스피어는 어떻게 구동되나

[IT동아 김예지 기자] 라스베이거스 ‘스피어(Sphere)’는 2023년 9월에 구축된 세계에서 가장 큰 돔(구형) 구조물이다. 총 23억 달러(약 3조 원)가 투입된 이 건축물은 높이 약 111미터, 직경 약 157미터에 달하는 크기로 우주에서도 관측이 가능할만큼 압도적이다. 2023년 스피어 엔터테인먼트로 이름을 변경한 매디슨 스퀘어 가든 컴퍼니(Madison Square Garden)가 스포츠 시설 전문 건축사 파퓰러스(populos)와 4년에 걸쳐 완공했다.
라스베이거스 스피어 / 출처=스피어 엔터테인먼트
라스베이거스 스피어 / 출처=스피어 엔터테인먼트

스피어는 지구에서 가장 큰 LED 스크린으로도 유명하다. 먼저 약 1만 5000㎡ 너비의 내부 디지털 스크린은 일반 축구장의 2배 크기, 용산아이파크몰 아이맥스관의 약 22배에 달한다. 16K 초고화질 해상도, 레이턴시 5ms 미만으로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특히 사용된 스피커 수는 약 16만여 개 이상이다. 또한 인터랙티브 요소가 녹아져 있어 몰입감을 극대화한다. 내부 수용 가능 인원은 약 1만 8000명에 달한다.

외부 스크린 엑소스피어, 엔비디아 GPU로 작동

특히 엑소스피어(Exosphere)라 불리는 외부 스크린은 120만 개의 16K LED 디스플레이로 이뤄진 초대형 광고판이다. 스피어 중 유일한 미디어 파사드(건축물 외벽에 조명을 설치, 미디어 기능을 부여하는 것) 외관을 취했는데, 약 5만 4000㎡ 너비 외부 스크린으로 구현한 거대한 눈알, 지구 모형, 이모지 등이 화제를 모았다. 2023년 오픈 이후, 유튜브, 하이네켄 등을 비롯해 영화사 등도 옥외 광고를 내걸었으며, 광고비는 하루 4시간 기준 45만 달러(약 6억 40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피어에 적용된 엔비디아(NVIDIA) RTX A6000 그래픽처리장치(GPU) / 출처=엔비디아
스피어에 적용된 엔비디아(NVIDIA) RTX A6000 그래픽처리장치(GPU) / 출처=엔비디아
이 스크린 뒤에는 약 150개의 엔비디아(NVIDIA) RTX A6000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숨겨져 있다. 엔비디아는 스피어 내부의 바닥에서 천장까지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공연장 외부의 엑소스피어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120만 개의 LED 퍽 라이트가 있다고 설명한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의 네트워킹 플랫폼 블루필드(BlueField) 데이터처리장치(DPU) 및 엔비디아 Connect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가 엔비디아 리버맥스(Rivermax) 소프트웨어와 연결된다. 이로써 16K 60fps의 영상 3개가 동시에 연산될 수 있으며,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나의 캔버스처럼 보이도록 작동된다.
한편, 해당 스크린에서 송출될 비디오 콘텐츠는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위치한 스피어 스튜디오에서 제작된다. 만들어진 콘텐츠는 라스베이거스에 전송되고, 엔비디아 RTX A6000 GPU가 장착된 랙 마운트 워크 스테이션으로 실시간 스트리밍된다.

관객 몰입감 올려주는 사운드·4D 시스템

다음으로, 스피어의 오디오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스피어의 내부 공연장은 빔포밍(여러 음향을 캡처하고, 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방식) 기술을 활용, 선명한 입체 음향으로 관람객의 귀를 자극한다.
스피어에서 상영되고 있는 대런 애러노프스키의 ‘지구에서 온 엽서’ 이미지 / 출처=스피어 엔터테인먼트
스피어에서 상영되고 있는 대런 애러노프스키의 ‘지구에서 온 엽서’ 이미지 / 출처=스피어 엔터테인먼트
스피어 엔터테인먼트는 곡선형 인테리어를 위한 스피어 몰입형 사운드(Sphere Immersive Sound) 시스템을 공개했다. 파워소프트(Powersoft)와 협력해 공급받은 약 16만 7000개 스피커는 객석마다 설치된다. 이 시스템은 고정형 콘서트 등급의 오디오 시스템 홀로플롯(Holoplot) X1으로 구동되는데, 장거리에서 음파를 제어해 공연장 복도 및 대기 공간에서도 사운드가 느껴지도록 한다. 또한 스피커에서 사용된 에너지를 재활용해 사용 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기존 앰프에 비해 약 40%의 에너지를 절감한다.
더불어, 스피어에는 좌석마다 햅틱 기술이 적용됐다. 진동하는 좌석, 바람과 향기 등의 특수 효과는 관객에게 4D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덕분에 가장 처음 스피어의 문을 열었던 록 밴드 U2를 비롯해 애니마(Anyma), 더 이글스(The Eagles) 등이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쳤고, 현재 대런 애러노프스키의 ‘지구에서 온 엽서’ 등 영상물도 상영되고 있다.
한편, 내부에는 돔 영상관을 비롯해 로비(아트리움), 레스토랑, 라운지 등의 시설물이 운영된다. 이 공간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아우라(Aura)’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IT 동아]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