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동아]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기술로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 형성할 것”

[휴스턴(미국)=IT동아 김동진 기자] “지구상 모든 것을 버추얼 트윈으로 구축해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다쏘시스템 CEO의 말이다. 그는 버추얼 트윈과 AI로 협업하는 방식 자체가 바뀌고 있다고 강조하며, 산업구조에 급격한 변화가 찾아오는 상황에서 더 스마트하게 일할 수 있는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구상의 모든 사물을 버추얼 트윈으로 구현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고 산업과 사회에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스칼 달로즈 다쏘시스템 CEO / 출처=IT동아
파스칼 달로즈 다쏘시스템 CEO / 출처=IT동아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개최…지속 가능한 ‘생성형 경제’ 구축 목표 제시
프랑스 소프트웨어 기업 다쏘시스템이 23일부터 26일(이하 현지시각)까지 나흘간 미국 휴스턴에서 글로벌 연례행사인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를 개최한다. 3D익스피리언스 월드는 버추얼 트윈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3DEXPERIENCE Platform) 사용자를 위한 커뮤니티 행사다.
버추얼 트윈은 가상 공간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진행, 결과를 미리 예측해 더 나은 선택을 돕는 기술이다. 버추얼 트윈은 현실 속 사물뿐만 아니라 그 사물을 둘러싼 개체와 환경을 시각화한 후 시뮬레이션하기 때문에 각종 동작과 물성 변화까지 현실처럼 구현이 가능하다. 가상공간에 구현한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 확인이 가능하므로, 구성원들의 실시간 작업과 토론을 가능케 한다. 오류를 발견했을 때도 빠르게 수정이 가능해 업무 효율 제고를 이끈다. 모빌리티, 건축 설계 등 분야를 막론하고 복잡한 공정을 지닌 산업에서 버추얼 트윈 기반의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활용 중이다.
이번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에서는 버추얼 트윈 기반의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으로 혁신을 달성한 마크 라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의 기조연설과 알텍(Altec), 아르마다(Armada), 그라인드 배스킷볼(Grind Basketball), 모빌리티 독립 재단(Mobility Independence Foundation) 및 프로테우스 모션(Proteus Motion)의 제품 쇼케이스가 진행된다. 설계, 엔지니어링, 거버넌스, 시뮬레이션, 제조 및 학계를 위한 250개 이상의 워크샵, 교육 및 분과 세션도 열린다.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  중인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현장 / 출처=IT동아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 중인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현장 / 출처=IT동아
지난 24일 진행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제네럴세션의 기조강연자로 나선 파스칼 달로즈 다쏘시스템 CEO는 버추얼 트윈 기술로 모두에게 이로울 생성형 경제 기반의 시장을 개척하자고 제안했다.
파스칼 달로즈 CEO는 “자사는 생성형 경제를 생성과 경험, 재생으로 이어지는 순환형 모델로 규정한다. 과거 제조와 소비, 폐기의 경제 모델을 뒤로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를 달성해 산업과 사회에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다쏘시스템이 설정한 목표”라며 “이를 위해 더 스마트하게 디자인하고 효율적인 생산 방식으로 낭비를 줄여야 한다.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가상 공간에 구현한 후 시뮬레이션 기술로 시행착오를 줄여줄 버추얼 트윈 기술이 그 길을 열어줄 것이다. 버추얼 트윈 기반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디자인을 개선하고, 협업 과정을 효율화해 궁극적으로 시장에 더 빨리 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지구상 모든 것을 버추얼 트윈으로 구현하면,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을 위한 생성형 경제 기반의 거대한 시장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트윈뿐만 아니라 3D 모델링 시뮬레이션 기술로 복잡한 부품의 결합과 각종 재료의 사용을 규명해 제품의 진화를 이끌 엔지니어링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혁신을 유도한다”며 “플랫폼에 AI를 접목해 다양한 솔루션과 주기적인 마케팅 및 생산 관리뿐만 아니라 마케팅 및 판매를 통합하고 있다. 나아가 생산 공정에서 조립 및 준수 사항 충족, 테스트 검증 등의 자동화를 AI로 달성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혁신 사례 공유 기조연설자로 마크 라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가 무대로 나섰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와 MIT에서 교수로 재직한 바 있는 마크 레이버트 박사가 1992년 창립한 로봇공학 기업이다. 2020년 현대자동차그룹이 인수하며 국내에 알려졌다.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에서 기조 강연자로 나선 마크 라이버트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립자(오른쪽)가 사족보행 로봇 스팟을 소개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에서 기조 강연자로 나선 마크 라이버트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립자(오른쪽)가 사족보행 로봇 스팟을 소개하는 모습 / 출처=IT동아
마크 라이버트 전무이사는 “산양이 가파른 경사를 성큼성큼 오르는 것을 보고 사족 보행 로봇이 인류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확신했다. 사족보행 로봇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가파른 경사나 위험 지역에서 활약한다. 예컨대 유해가스가 유출된 공간에 들어가 현장을 대신 조사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사족보행 로봇 스팟은 2022년 허리케인 피오나가 캐나다 동부를 강타했을 당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피해 현장을 조사해 요원이 진입 가능한 경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했다.
그는 이어 “사족보행 로봇뿐만 아니라 이족보행 로봇까지 개발해 산업 현장의 생산성 제고를 달성할 수 있었던 배경은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라며 “로봇이 장애물을 마주했을 때 어떻게 통과하고 다음 행동으로 나아갈지 가상공간에서 충분히 실험했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줄이고 빠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어떤 환경에서도 로봇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마크 라이버트와 함께 연단에 오른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다쏘시스템 고객 경험 부문 수석 부사장은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버추얼 트윈과 생성형 AI를 통해 협업과 혁신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이번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지적 재산을 보호하며 생성형 경제에서 더욱 스마트하게 일할 전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T동아 김동진 기자 (kdj@itdonga.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IT 동아]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