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내우외환’ 현대제철, 총파업 우려까지 불거져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현대제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현대제철
현대제철이 미국의 관세 부과, 일본 열연강판 유입 등에 이어 노조 리스크까지 겹쳐 내우외환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그룹사 기준’을 강조하고 있는 노조는 전 사업장의 총파업 준비에 돌입했다.

23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조 5개 지회(인천·당진·순천·포항·하이스코)는 24일 확대간부회의 및 결의대회를 열고 26일부터 27일까지 48시간 총파업 여부를 결정한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부터 진행된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최근 교섭을 마무리짓기 위해 경영 성과금과 독려금, 생활안정 지원금과 더불어 기본급 400%와 1000만원을 지급하는 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전 교섭보다 500만원 인상된 제시안이었다.

하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총파업 준비에 나섰다. 그룹사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기본급 500%와 1800만원을, 현대위아는 기본급 400%에 1700만원(주식 포함) 등 내용이 담긴 임단협에 합의했다.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사상 최대 규모 성과금 지급 △차량 구매 대출 시 2년간 1000만원 무이자 대출 지원 △정년 퇴직자 대상 3년마다 20% 차량 할인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24일까지 교섭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현대제철 노조의 총파업을 막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입산 저가 철강재 유입 및 전방산업 부진으로 어려움에 빠진 현대제철이 노조의 요구를 온전히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2022년 1조6000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은 2023년 7983억원, 2024년 3144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줄었다. 여기에 미국의 쿼터제 폐지 및 25% 관세 부과가 내달 12일부터 시행되는만큼 현대제철의 부담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총파업으로 전국의 사업장이 멈추게 될 경우 제품 생산 및 출하에 차질이 빚어져 수익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원만한 협의를 위해 지속 대화 중에 있다”고 밝혔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