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돌반지 70만원 육박… 美 월가 은행들, 대서양 건너는 ‘금괴 수송작전’

골드바. 사진=게티이미지
골드바. 사진=게티이미지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하며 온스당 3000달러를 눈앞에 둔 가운데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월가 은행들이 금괴를 유럽에서 미국으로 들여오고 있다고 있다고 전했다.

월가 은행들이 ‘금괴 수송 작전’에 나선 이유는 런던의 금 가격이 뉴욕의 가격보다 낮기 때문이다.

WSJ은 “최근 몇 년 내 가장 큰 규모의 ‘금괴 대서양 이동’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골드러시는 세계 무역을 재편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가 국제 시장에 어떤 파장을 일으키는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지난 12일 뉴욕에서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2909달러로 마감됐다. 이날 런던에서 금 가격은 이보다 20달러나 낮았다. 이런 수준의 가격 차이가 지난해 12월 초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 금값 상승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가 주된 요인으로 지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선을 확대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몰리면서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은행의 금 거래자들은 대서양을 건너 런던의 금 상가나 스위스의 금 제련소를 찾아가 금괴를 매입한 뒤 이를 뉴욕으로 옮겨서 판매한다. 금괴는 안전한 여객기의 화물칸을 이용해 옮긴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과 런던에 본사를 둔 HSBC 은행이 이런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고, 다른 월가 은행들과 헤지펀드가 동참에 나선 상태다.

WSJ은 금괴를 뉴욕으로 옮기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영국인들이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 지하 금고에서 금괴를 인출하기 위해 몇 주 동안 기다려야 했다고 전했다.

금 현물가격은 13일 온스당 2956달러로 오르며 연중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금값이 치솟으면서 우리나라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고 있다. 수급 문제로 은행권에서 골드·실버바 판매가 전면 중단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KB국민은행에 이어 우리은행도 이날부터 골드·실버바 전 상품의 판매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최근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골드바 품귀 현상이 벌어졌고, 그에 따른 풍선효과로 실버바 구매 수요도 급증한 것이다.

일부 은행은 재고 물량을 소진하거나 다른 공급처를 찾는 등의 방식으로 골드바 판매를 지속하고 있지만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조폐공사는 12일부터 은행권에 대한 골드바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

한편, 14일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오후 4시 26분 기준 1kg짜리 금 현물의 1그램당 가격은 165,760원을 나타냈다. 이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3,770원 (2.33%) 오른 가격이다.

한 돈(3.75g) 가격으로는 621,600원이다. 실물 매입시 부가세 10%와 제품화에 필요한 세공비까지 포함할 경우 돌반지 한 돈은 70만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