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 변경·지급 연기 추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미국 정부가 현지 투자 기업에 주기로 한 반도체 보조금 관련 재협상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보조금 지급 일부를 연기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로이터는 13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이같이 보도했다. 소식통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 보조금 책정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재검토 및 변경한 뒤 일부 거래를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변경 정도가 어느정도이며, 기존 합의에 미칠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부연했다.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인 글로벌웨이퍼스는 “반도체 법 프로그램 당국이 우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들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이 현재 재검토 대상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글로벌웨이퍼스는 미 텍사스주와 미주리주에 약 40억달러를 투자, 웨이퍼 제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미 정부는 이 투자에 대해 최고 4억600만달러(약 6600억원)를 지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에 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요구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공장 노동자에 대한 저렴한 자녀 보육 서비스 제공 등 조건이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는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해 (반도체법)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을 간소화하고 칩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공동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소식통 중 한 명은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다른 국가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조금 재협상이 현실화할 경우 인텔·TSMC 뿐 아니라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약 53조4000억원)을 투입, 반도체 위탁생산 공장(팹)과 연구개발(R&D) 시설을 구축 중이다. 확정된 보조금은 47억4500만달러(약 6조8000억원)이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첨단 패키징 공장을 짓기 위해 38억7000만달러(약 5조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미 상무부는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천6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