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처음으로 접수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인체자원(사진=질병관리청)
국민 100만명의 인체자원 데이터를 확보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이 첫발을 뗐다. 세계적인 수준의 바이오 인프라로 의료기술 고도화와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에 속도를 낸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1일 충북 청주시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서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의 첫 인체자원 접수현장을 공개했다. 지난해 12월 말부터 사업에 참여한 117명의 혈청, 혈장, DNA 등 인체자원 1920병(바이알)을 입고했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2032년까지 인체자원, 임상정보, 유전체 등 바이오 빅데이터 100만개를 통합·관리하는 사업이다. 수집된 검체와 데이터는 내년부터 대학·병원 등의 정밀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개발 등 연구에 개방한다. 사업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는데, 2028년까지 시행되는 1단계 사업에는 국비 총 6040억원을 투입한다.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개요(자료=질병관리청)
정부가 이번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국가전략자산으로 꼽히는 바이오 빅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로 글로벌 격차를 따라잡기 위해서다. 영국은 이미 2010년 50만명 분량의 인체자원을 확보했고, 미국은 내년을 목표로 2018년부터 100만명 분량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한국 역시 국립보건연구원이 2008년부터 총 117만명의 인체자원을 수집해, 국내 보건의료 연구개발(R&D) 5041개 과제에 검체를 분양했다.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와 한국인 맞춤형 당뇨병 예측 시스템 등이 대표 성과다. 질환 연계 임상역학정보 등 데이터 폭을 넓히고, 특화 R&D 과제와 사업화를 위해 범부처 통합 사업으로 새롭게 마련한 것이다.
정영기 국립보건연구원 부장은 “이번 사업은 전쟁터에서 싸우는 군인에게 다양한 무기를 제공하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희귀질환 치료에 나서는 연구자에게 고품질 데이터와 자원을 공급해 신약·진단기술·치료법 등을 도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인체자원은 영하 150도 이하로 유지되는 액체질소냉동고에 보관한다. 보건연구원은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2차원(2D) 바코드와 스캐너, 전자동자원관리 플랫폼 등을 구비했다. 자동화 시스템으로 하루 최대 1000명 분량의 인체자원을 접수할 수 있다. 보건연구원은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수용을 위해 2027년까지 인체자원은행을 증축할 예정이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연구원이 검수를 마친 인체자원을 액체질소냉동고에 투입하고 있다. 인체자원의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로로 된 이송용기를 개발했다.(사진=질병관리청)
원활한 사업 운영을 위해선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다. 이번 사업은 전국 38개 병원에서 희귀질환자, 중증질환자, 일반인으로 대상을 나눠 참여자를 모집한다. 동의서를 기반으로 인체자원을 수집하는데, 지난해 12월 19일 출범 이후 현재까지 700여명이 참여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지금 개개인이 참여하는 데이터로 내일의 모두를 위한 의료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 “연구윤리심의(IRB)를 거쳐 연구 목적으로 투명하게 관리하는 만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많은 동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이 11일 충북 청주시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의의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