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부산·전남 등 “특구 최적지·강점 내세워”
분산에너지특구에는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기직접판매 특례가 적용된다. 중앙집중적 에너지 수요공급망 형태에서 벗어나 지역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에너지 분권’이 한층 강화된 것이다. 지역에서 생산한 에너지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전력시스템’ 구현이 핵심이다.
분산에너지특구는 지난해 6월 제정된 분산에너지법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정·고시한다. 아직 구체적인 선정 시기와 조성 규모 등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르면 올해 1분기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상반기내 분산에너지특구를 선정할 예정이다.
광역지자체들은 분산에너지 시스템이 한전의 비싼 송전 비용을 줄이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에너지 자급자족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중심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이행을 목표로 하는 기업을 유치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본다. 특히 전력 수요가 많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반도체, 이차전지 기업 등에 막대한 유인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인구 감소 등으로 경기침체를 겪는 전남도를 비롯해 전북도, 울산시, 부산시. 제주도 등 비수도권 광역자자체가 분산에너지특구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경북도는 ‘경북형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기를 수소에너지로 저장하는 P2G(Power to Gas) 시스템 사업, 수소연료전지 발전을 통한 전기·열 공급 등을 검토 중이다.
부산시는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해 안정적으로 분산에너지 자원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소 등을 연결한 가상발전소(VPP)를 개발하고 있다.
울산시는 발전 자원용 연료 직도입과 청정연료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산업단지 실현을 강조한다.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 겸용 가스 복합발전소가 상업 운영에 들어가고 2.8GW급 새울 원전 3·4호기가 2026년 준공되면 분산에너지 전원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강점으로 꼽았다.
전북도는 3단계 대응 전략을 내놨다. 1단계인 분산 자원 인프라 시설 구축을 시작으로 2단계에서는 전력 자립률 100%를 달성하고 3단계에는 완주 수소 특화 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신에너지형 산단을 특화지역으로 발전시키는 구상이다.
제주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만 대의 전기차를 활용한 ‘신산업 활성화’ 모델을 추진한다. 전기료가 저렴한 시간대에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를 충전한 뒤 비싼 시간대에 전기를 꺼내 쓰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분산에너지 활성화는 선진국에서 지역 간 전력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방 경제를 살릴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분산에너지를 통해 기업과 산업을 지역으로 유도해 지방 소멸을 방지하고 에너지 갈등을 해소하는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