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삼성 갤럭시S25, 양자내성암호 기술 탑재…보안 강화

삼성 갤럭시S25, 양자내성암호 기술 탑재…보안 강화
삼성전자는 양자내성암호(PQC) 기능을 갤럭시S25 시리즈에 처음으로 탑재했다고 5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미래의 양자 컴퓨터가 기존 암호화 방식을 무력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더욱 강력한 보안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양자 컴퓨터의 실용화가 당장 이루어지지는 않더라도, ‘선 수집, 후 해독(Harvest Now, Decrypt Later)’ 방식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선제 도입했다.

삼성전자는 양자 컴퓨터 시대에도 암호화된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권장하는 표준을 준수, 양자 컴퓨터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암호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예를 들어, ML-KEM 알고리즘은 복잡한 다차원 구조인 ‘격자 수학’을 활용해 암호 키를 생성하는데, 이 방식은 양자 컴퓨터조차 풀기 어려운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또 성능 최적화와 데이터 교환 최소화를 통해 안전한 통신을 지원한다.

NIST가 제안하는 양자내성암호 표준은 이메일, 전자상거래 거래 등 다양한 전자 정보 보호에 적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까지 양자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계획이다.

또 삼성전자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삼성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에 ‘포스트 양자 강화 데이터 보호(EDP)’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의 EDP 기능은 삼성 클라우드를 통해 개인 데이터를 백업, 복원, 동기화할 때 종단 간 암호화를 제공한다.

양자내성암호 기술 추가로 녹스 매트릭스의 보안 수준이 한층 더 강화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녹스 매트릭스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TV, 디지털 가전 등 다양한 기기와 연결되는 ‘크로스 디바이스 보안’을 지원, 삼성 클라우드 데이터를 양자 컴퓨팅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S25 시리즈는 업계 최초로 양자내성암호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 기능을 지원하며, 양자 컴퓨팅 시대에 맞는 새로운 보안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삼성전자는 모바일 보안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며, 사용자들이 더욱 안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자유롭게 연결된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