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AI 전문가 4인 “혁신적 AI 모델, 모든 요소 유기적 연결 때 가능”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는 단순 AI 모델의 성공이 아니라 국가적 지원, 인재 양성, 기술 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정부, 학계, 연구기관과 기업의 주요 리더들은 우리나라 AI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딥시크와 같은 사례에서 교훈을 얻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장기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이 딥시크를 뛰어넘는 AI 혁신 기업을 만들 수 있을지 지금이 기회라는 것이다.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태재대 총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태재대 총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은 “AI는 아직 발전 초기 단계다. 한국에서도 딥시크 같은 성공 사례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염 부위원장은 “이미 그런 일을 시도하는 한국 기업들이 있고, 아직 딥시크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스타트업과 벤처 기업들이 도전한다면 충분히 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독자적 IT 생태계를 구축한 경험이 있다. 염 부위원장은 “전 세계가 MS 워드를 쓰지만, 우리는 아래아한글을 쓴다. 마찬가지로 한국만의 ‘소버린 AI’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정부가 부처를 중심으로 큰 틀에서 AI 중심 지원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딥시크의 또 다른 성공 요인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구현했다는 점이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은 “한국의 AI 인프라는 미국, 중국보다 부족하지만 창의적 인재와 오픈소스 활용 등 새로운 전략을 적용한다면, 고비용 AI 모델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의 고급 AI 인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지만, 이를 무조건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대신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등에서 고급 인재를 2배로 유치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소장은 “AI는 다양한 문화와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협력할 때 더욱 발전한다”며 “한국도 AI 인재 풀을 글로벌하게 확대하고, 외국 인재들이 국내에서 일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딥시크의 성공이 가능했던 가장 큰 요인은 풍부한 AI 인재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 원장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 원장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은 “AI 산업은 자본과 컴퓨팅 파워만으로 승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도 AI 인력을 제대로 양성하고, 고급 인재가 있다면 충분히 해볼 만하다”고 진단했다.

장 원장은 “절대적 규모 면에서 많이 부족하다. 좀 더 자신 있게 투자해야 한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고 이는 AI 생태계 조성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장 원장은 “AI 산업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원천 기술을 가르치고, 이들이 창업하고 투자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오픈소스 개발과 글로벌 협업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생성AI스타트업협회장)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생성AI스타트업협회장)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생성AI스타트업협회장)는 AI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정부의 규제 환경을 꼽았다.

이 대표는 “딥시크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한국에서도 AI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이공계 인력 양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막대한 인구에서 쏟아지는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활용과 기술 개발도 우리보다 훨씬 제약이 덜하다는 것이 이 대표의 생각이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는 현재 AI 기본법이 하위 법령을 통해 어떻게 구체화될지 모른다”며 “새로운 규제가 등장하면 이제 막 성장하려는 AI 스타트업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 대표는 “전 세계가 AI 경쟁에 전력 질주하고 있다”며 “한국도 국가 차원의 AI 인프라 지원과 동시에, 산업이 자율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