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 통신사업자들이 망 사업자에 머무르지 않고 AI·디지털 인프라와 플랫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ICT 파트너’로 거듭나는 게 핵심 과제로 지목됐다. 국가 차원의 AI 활용 확산을 위해 전력·개인정보 분야 등 과감한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조언이 제시됐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27일 서울시 강남구 씨스퀘어에서 ‘통신사 AI 서비스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모색’을 주제로 ‘제4차 AI 미래가치 포럼’ 공개세미나를 개최했다.
김민기 KAIST 교수가 KTOA가 주최한 AI 미래가치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김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중국 딥시크의 전략과 버라이즌, 텔스트라, NTT도코모,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통신사의 AI 전략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AI를 기반으로 다양한 융합 산업을 시작하는 글로벌 통신시장을 참고해 한국 통신사도 포화된 통신시장에서 AI콘택트센터, 스마트공장, 모빌리티 등 AI+X 산업분야와 협력해 새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통신사가 AI 사업자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문제로 ‘전력’관련 문제를 지적했다. 김 교수는 “AI 연산을 위한 전력 소모는 일반 데이터 전력 소모량의 40~60배에 달한다”며 “AI 데이터센터(AI DC) 등에 대규모 전력 가능하도록 새로운 전력 관리 방안이 필요하며, 통신사도 혁신 기술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성현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가 KTOA가 주최한 AI 미래가치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방성현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AI 핵심 자원인 데이터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등 AI 관련 저작권 규제 사례, 국내 국회 법안 발의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 상황에 맞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방 변호사는 TDM(Text Data Mining) 규제와 관련해 “AI 기술 개발 목적을 공공의 이익, 사회적 이익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로 제한하면 이를 충족하는 사업자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싱가포르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적법한 접근 요건 충족을 조건으로 데이터분석과 준비작업을 저작권 침해 예외로 규정하는 방안이 적합해 보인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영탁 SK텔레콤 부사장은 “3만원짜리 책 1권의 데이터를 AI 학습용으로 사용하려면 100만원(저작권료)을 달라고 하는데, 데이터 수집을 하지 말라는 말과 같다”며 “합리적 데이터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상학 KTOA 부회장은 “통신산업은 AI DC와 기기, 반도체까지 전체적인 생태계 속에서 풍부한 사업 경험과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적으로도 혁신기술이 가져올 피해를 예방할 경험이 가장 풍부하다”며 “AI를 빠르게 발전시키 위해 통신사에 대한 과감한 규제 특례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성엽 포럼 의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포럼 개최를 통해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및 규제개선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