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올해 HBM 솔드아웃, 내년 물량도 상반기 협의 마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27일 이천 본사에서 열린 제7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SK하이닉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27일 이천 본사에서 열린 제7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내년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진을 예고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27일 이천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올해 HBM 물량은 이미 솔드아웃(매진)됐고, 내년 물량도 상반기 내 고객과 협의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곽 사장은 “일부 기관에서는 올해 HBM 시장이 2023년 대비 9배 성장을 예측했다”며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에서 내년 출시될 HBM은 6세대인 ‘HBM4 12단’이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주요 고객사들에 샘플을 공급했다. 현재 주력은 HBM3E 12단이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들에 납품되고 있다.

곽노정 사장은 인공지능(AI) 업체들의 투자 속도 조절, 중국 딥시크와 같은 저비용 AI 모델 등장에도 HBM 시장 성장은 변함 없을 것으로 봤다.

곽 사장은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이 지속 하향되는 등 불확실성이 높지만 AI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빅테크 기업 투자는 확대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AI 모델이 정확한 데이터를 얻으려면 오랜 시간 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딥시크와 같은 AI 모델 등장으로 양질의 AI 서비스가 늘어나면 AI 그래픽처리장치(GPU)는 더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마이크론과 삼성전자 등 HBM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수익성 강화를 자신했다.

곽 사장은 “HBM은 고객 주문을 확보한 뒤 공급한다는 점에서 범용 제품과는 다른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라며 “플레이어 수가 늘어나도 과거처럼 수익성이 악화될 확률은 높지 않다.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리더십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 이천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이천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최근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세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샌디스크에 이어 마이크론은 유통사에 메모리 반도체 판가 인상을 통보한 바 있다.

이상락 SK하이닉스 글로벌세일즈마케팅(GSM) 부사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축적된 고객 재고가 소진되면서 시장 분위기는 우호적”이라면서도 “관세 이슈 등으로 고객이 물량을 미리 확보하려는 효과일 수도 있어 조금 더 모니터링을 하면서 유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곽노정 사장은 이날 SK하이닉스 주총에서 사내이사에 재선임됐다. 지난 2022년 SK하이닉스 대표에 임명된 곽 사장은 이사회 결의를 거쳐 대표이사를 연임하게 된다.

곽 사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올해 도전적인 상황이 예상된다”면서도 “AI 서버용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소캠'(SOCAMM·저전력 D램 기반 AI 메모리 모듈)은 올해 양산 공급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고, 데이터센터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천=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

<구체적인 내용이나 첨부파일은 아래 [전자신문] 사이트의 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